지속 가능한 생활(에너지 절약, 친환경 소비, 미니멀 라이프)

[2편]⚡ 전기차는 전기로 달린다? 그 전기는 어디서 오나

GreenVista 2025. 5. 7. 10:04

“전기차니까 무공해죠!”
이 말, 절반은 맞고 절반은 틀릴 수 있다.
왜냐하면 그 전기가 ‘어디서 만들어졌느냐’가 더 중요하기 때문.


🔋 1. 전기차는 주행 중 탄소를 배출하지 않는다

  • 일반 내연기관 차량은 연료를 태워서 동력을 만든다
     → 이 과정에서 CO₂ + 미세먼지 등 오염물질이 발생
  • 반면 전기차는 배출가스가 없다
     → 즉, 도로 위에서는 매우 ‘깨끗한 존재’

하지만 이건 표면적인 결과일 뿐이다.


⚡ 2. 전기차의 “탄소 발자국”은 충전소 뒤에서 시작된다

전기차는 전기로 달리지만, 그 전기를 만드는 과정에서 탄소가 나올 수도 있다.

한국의 전력 생산 비중 (2024년 기준)

에너지원비중탄소 배출 여부

 

석탄 발전 약 30% ✅ 매우 높음
LNG (가스) 약 27% ✅ 중간 수준
원자력 약 25% ❌ 매우 낮음
재생에너지 (태양광, 풍력 등) 약 9% ❌ 거의 없음
기타 9% 혼합
 

→ 즉, 전기차 한 대가 달릴 때마다 뒤에서 석탄이 연소되고 있을 수도 있다.


🌎 3. 국가별 전력 구조에 따라 달라지는 ‘친환경성’

전기차의 진짜 친환경 여부는 그 나라의 전기 생산 구조에 따라 결정된다.

  • 노르웨이: 수력 발전 비중 90% 이상 → 진짜 친환경
  • 한국/중국/인도: 석탄 비중 높음 → 오히려 "간접 탄소 배출"

예시 비교:

나라재생에너지 비중전기차의 친환경 실효성

 

노르웨이 98%+ (수력 중심) ✅ 매우 높음
독일 50% 이상 ✅ 긍정적
한국 약 9% ⚠️ 제한적
중국 30% 이하 ❌ 낮음
 

✅ 4. 그럼 전기차는 사면 안 되는 걸까?

그건 아니다.
전기차는 다음을 전제로 할 때 **‘과도기적 최선의 대안’**이 된다.

  • 재생에너지 사용 비율이 높아질 것이라는 국가 계획
  • 충전소가 태양광 기반으로 구축될 수 있는 인프라
  • 개인이 RE100 충전(그린 요금제 등)을 선택할 수 있는 환경

🛠 5. 독자는 어떻게 실천할 수 있을까?

  • 가정용 전기차 충전 시 그린 요금제 선택 고려
  • 태양광 충전소 또는 RE100 충전소 이용
  • 전기차뿐 아니라 “그 전기”까지 신경 쓰는 습관 갖기

💬 여러분은 어떻게 생각하세요?

전기차가 충전만 하면 친환경이라고 생각하셨나요?
당신이 사용하는 전기, 어디서 오고 있나요?
댓글로 여러분의 생각을 남겨주세요.


1편 – 전기차는 왜 친환경이라 불릴까?
https://sustainable-scenery.tistory.com/15

 

[1편] 🚗 전기차는 왜 친환경이라 불릴까? 진실 혹은 오해

“전기차는 친환경이다?”정말 그럴까? 마치 상식처럼 받아들여지고 있지만, 이 문장을 믿기 전에 우리는 먼저 이 질문부터 던져야 한다. 🔍 1. 전기차가 친환경이라고 불리는 이유 전기차(EV, El

sustainable-scenery.tistory.com

3편 – 배터리의 진실, 희토류와 ESG
https://sustainable-scenery.tistory.com/17

 

[3편] 🔋 전기차 배터리의 진실 – 희토류와 ESG, 그리고 ‘소금 배터리’라는 반전

“환경을 위해 전기차를 선택했다.”하지만 그 전기차 안에 들어있는 배터리는 과연 얼마나 ‘환경을 생각한 것’일까? 우리는 자주 "전기차는 친환경이다"라고 말하지만, 그 말을 하기 위해선

sustainable-scenery.tistory.com